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팁

거짓말 탐지기 원리와 한계

by cdling86 2022. 5. 12.
반응형

거짓말 탐지기는 뇌파 | 심장박동 | 호흡 | 안구운동 등 몸의 여러 가지 생리적 현상을 동시에 기록하는 폴리그래프의 일종입니다. 거짓말할 때의 심리적 불안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변화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입니다. 거짓말 탐지기가 처음 도입된 계기는 1885년 이탈리아의 생리학자 "롬 보느로"가 맥박의 변화를 파악해 범인을 검거해 이를 이용하여 거짓말 탐지기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범죄 수사에 활용된 것은 1920년 캘리포니아 경찰이 처음이며, 우리나라에는 196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거짓말 탐지기의 원리

인간의 피부는 여러 조건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합니다. 피부의 표면에 있는 땀쌤에서 땀이 나는 정도에 따라 피부의 저항이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거짓말을 하면 교감 신경의 작용에 의해 땀 분비량이 증가하고 피부의 전기 저항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땀 분비량 변화를 통한 전기적 변화 측정을 통해 거짓말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게 됩니다.

범죄 수사에서 거짓말 탐지기는 주로 이러한 피부의 전기 반사 외에도 호흡·맥박·혈압 등을 동시에 기록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완벽하게 판결을 할 수 있는가?

인격장애인은 물론이고, 거짓말을 해도 불안감이나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정서적 반응에 의존하여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러한 반사회적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무척 예민하여 쉽게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이나 자신의 결백을 믿어주지 않을까 봐 생기는 두려움으로 신체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진실을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잘못 해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거짓말 탐지기 검사 결과는 공소사실에 대한 직접증거로 인정받지 못하며 진위 여부 판단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