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LED 조명을 교체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반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LED 조명을 교체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반영구적이라고 하면 거의 영구에 가깝게 LED 조명을 사용할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수명을 다 하지도 않았는데도 고장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LED조명 고장의 원인
LED 조명이 불이 안 들어오게 되는 이유는 PCB 모듈이 불량이거나 컨버터의 불량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90% 이상이 컨버터의 고장으로 인해 불이 안 들어오게 되는데 이러한 컨버터는 주위 온도와 습기로 인해 외부 적인 요인으로 이상이 생길 수 있고, AC 220V의 높은 전압이 DC 전압으로 컨버팅 되면서 부하를 받게 되면, 컨버터의 수명을 단축시켜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컨버터가 고장일 경우 증상
- PCB 모듈 전체가 깜빡임
- 전원을 켰는데도 안 켜짐
- 불빛이 흐려지는 증상
컨버터가 이상이 있을 땐 컨버터를 교체해야 하는데 제품의 원래 제조사의 컨버터를 사용해야 하는 게 가장 좋지만, LED 조명 제조사마다 컨버터는 전압(V)과 전류(A) 값이 다르기 때문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LED 자가 수리 세트'를 구매해 교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PCB 기판 고장일 경우 증상
- LED 일부만 안 켜짐
- LED칩(패키지)이 까맣게 됨
- 면조명 같은 경우 까맣게 줄이 생기거나 모서리에 멍든 현상
PCB 모듈은 일반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LED 패키지 하나만 타거나 이상이 발생되면 LED 패키지에 전기 공급이 안돼 점등이 안됩니다.
불량 난 LED 패키지를 테스터기로 찾아 교체를 해 다시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 소비자는 불량 난 곳을 찾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고, 찾는 다 하더라도 납땜과 전류 방향을 정확하게 알고 작업해야지 제대로 된 수리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등기구에 맞는 PCB 모듈도 사이즈를 파악 후 새로운 LED 모듈로 교체해 자가 수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불을 껐는데도 잔광이 남아 있는 원인!
- 전자식 스위치 사용(디지털 스위치 사용)
- 전기 배선이 잘 못 되었을 경우(R상과 N상이 바뀜)
- 접지 전류를 타고 미세전류가 전등에 흐를 경우
- 다른 전열 기구 간섭
스위치를 껐는데도 미세한 불빛이 남는 현상을 잔광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잔광 제거 콘덴서 또는 릴레이를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잔광 제거 콘덴서, 릴레이 사용 후에도 잔광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건물 천장에 매입된 철재 부속에 누설 전류가 흐르는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등기구의 철재 브래킷이나 철매입 박스 그리고 샌드위치 패널 등 철재로 된 자재에 누설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전기 설비 전문가를 통해 확인이 필요합니다.
'산업자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선 차단기(과부하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의 역할과 동작 원리 (0) | 2022.11.23 |
---|---|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가 왜 필요한 이유와 사용하는 법! (0) | 2022.11.11 |
WD-40 기본 이해와 생확 속 꿀팁(웬만하면 그리스가 도포된 곳엔 뿌리지 마세요.) (1) | 2022.10.28 |
케이블릴(전선릴) 종류와 특징 무조건 길게 사용 한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용도에 맞게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0) | 2022.10.20 |
LED 센서등과 비상 LED 센서등 차이와 동작 원리 (0) | 2022.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