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 탐지기1 거짓말 탐지기 원리와 한계 거짓말 탐지기는 뇌파 | 심장박동 | 호흡 | 안구운동 등 몸의 여러 가지 생리적 현상을 동시에 기록하는 폴리그래프의 일종입니다. 거짓말할 때의 심리적 불안으로 발생하는 신체적 변화를 감지하고 기록하여 거짓말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입니다. 거짓말 탐지기가 처음 도입된 계기는 1885년 이탈리아의 생리학자 "롬 보느로"가 맥박의 변화를 파악해 범인을 검거해 이를 이용하여 거짓말 탐지기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범죄 수사에 활용된 것은 1920년 캘리포니아 경찰이 처음이며, 우리나라에는 1960년에 처음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거짓말 탐지기의 원리 인간의 피부는 여러 조건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합니다. 피부의 표면에 있는 땀쌤에서 땀이 나는 정도에 따라 피부의 저항이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거.. 2022. 5. 12. 이전 1 다음